반응형
GENERIC
Generic은 타입을 파라미터화해서 컴파일시 구체적인 타입이 결정되도록 한다
- 컴파일시 강한 타입 체크를 할 수 있다
- 타입변환을 제거할 수 있다. 기본적으로 object타입으로 저장을 하는데, 만약 스트링으로 사용하고 싶으면 형변환을 해야한다. 하지만 제너릭을 사용하면 처음부터
<? extends 클래스> = 상위에 있는 클래스들에 대한 제한
<? Super 클래스> = 하위 클래스에 있는 클래스 제한
Generic를 통한 배열을 선언할때는 new int[10] 이렇게 하면 에러가 난다. 왜냐하면 확정이 안된 타입의 변수는 선언이 불가능해서, object타입으로 선언을 해주고, 제너릭 타입으로 형변환을 시켜주면 된다.
Ex. (T)(new Object[capacity])
반응형
'IT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mputational Thinking & Scratch – Intro to Computer Science(week 0) (0) | 2019.12.25 |
---|---|
The Shawshank Redemption review (4) | 2019.12.16 |
이것이 자바다 노트2(스레드 + 멀티스레드) (0) | 2019.12.14 |
이것이 자바다 노트1 (0) | 2019.12.09 |
Garbage Collector (0) | 2019.12.01 |